심리이야기

성인 애착이론

심리전공자 2024. 3. 9. 00:10

1. 안정적 애착관계

다른 사람을 신뢰하고 감정적으로 개방적이며, 장기간의 친밀한 관계에 들어갈 수 있다. '나는 사람들과 대체로 쉽게 친해지고 그들에게 의지하는 것이 편안하고 또 나에게 의지하는 것도 좋아한다. 나는 유기 당할까봐 또는 너무 가까이 올까봐 걱정하지 않는다.'

 

2. 불안한 애착관계

'나는 다른 사람들이 내가 가까이 있기를 원하는 것만큼 친해지는 것에 대해 머뭇거리는 것을 발견한다'

'나는 자주 배우자가 정말로 나를 사랑하는지 또는 나와 함께 있기를 원하는지 걱정된다'

'나는 사람들과 가까이 있기를 바라는데, 이런 나의 바람이 사람들을 놀래게 해서 떠나게 만든다'

 

불안한 애착관계는 사랑 받고 있는지 확신하지 못하고 사랑받을 만한 가치가 있는지 또는 보호를 받을 수 있을지 불안해 한다. 결국 과다한 경계심, 학신에 대한 요구가 강하거나 분노로 자주 항의하거나 질투를 많이 느낀다.

 

3. 회피 애착관계

'나는 다른 사람과 가까이 있는 것이 어쩐지 불편하다'

'나는 누구라도 가까이 오면 불안하고 또 다른 사람들이 내가 편하게 느끼는 것보다 더 친밀하게 있기를 바라면 불안해 진다'

안정감을 느끼기 위해 또는 생존과 성장에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도 공개적으로 배우자의 지지를 요구하기보다 지나치게 자기 자신에게 의지하려고 한다.

 

볼비는 이 애착체계는 일생동안 유지되는데 다른 사람과 가까이 잇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드러난다고 하였다. 사랑에 빠지거나 결혼하고자 하는 것은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켜주기 때문에 함께 있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부부관계에서 중요한 것은 어린 시절에 부모와 안전한 애착관계를 형성한 경험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개방적이고 일관된 방법으로 자신의 애착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지에 달려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