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귀신을 보았다는 사람들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심리이야기 2024. 4. 20. 00:00

    초자연적인것에 대한 믿음

    한 연구에 따르면 대상자의 약 75%가 초자연적인 것과 관련된 여러가지 중에 하나라도 믿음을 가지고 있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초자연적인 믿음이 귀신을 보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은 없지만 간접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암시의 힘

    귀신이 나오는 곳에 있다고 하면, 귀신의 존재를 알게 모르게 받아 들이게 된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바스락 거리는 소리에도 "귀신 아니야?" 하며 귀신이라는 것에 좀더 초점을 맞추게 된다.  1997년도 22명의 실험대상자들을 한 실험이 있었는데, 극장에서 가끔 귀신이 나타난다는 말을 듣고 그 극장을 방문 했을 때, 실험자들은 초자연적인 현상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실제 그 극장은 귀신이 나타나는 곳이 아니였다.

     

    뇌 기능 장애

    귀신을 직접 봤다는 사람들은 뇌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는 여론이 존재 한다. 우리 뇌의 어떤 특정 부위를 자극하면 사람들은 자신이 보고 듣지 못한 존재를 마치 보고 들은것처럼 말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평상시 우리의 뇌가 아니라 어떠한 특정한 뇌의 부위가 자극이 되면 귀신을 봤다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심리장애

    심리적으로 불안하고, 긴장되고, 공포스러우면 귀신을 봤다고 착각할 수 있다. 혹은 헛것을 봤다고 착각할 수 잇고, 자신이 예전에 봤던 드라마나 만화영화와 같은 장면들과 자신이 알고 있는 정보들이 결합하여 마치 본것처럼 느낄 수 있다. 

     

    스트레스

    스트레스가 해소되지 못하고 누적되거나, 계속 이어진다면 환각이 일어날 수 있다. 이것은 앞서 말한 것과 심리장애와 비슷한데, 장애가 아니라 스트레스만 누적이 되어도 초감각적인 감각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럴때 사람들은 귀신을 봤다고 말할 수 있다.

     

    예민한 사람

    예민한 사람은 보통사람들이 보고 듣는것보다 훨씬 더 많이 보고 듣게 된다. 그러다 보면 보통사람들이 들을 수 없는 주파스도 듣게 되고, 보통 사람들이 잘 발견하지 못하는 부위를 잘 보게 된다. 이러한 부분들이 초자연적인 현상과 연결이 되기도 한다.

     

    곰팡이

    귀신이 나올것 같은 으스스한 장소에서 피어난 곰팡이는 환각을 유발하기도 한다고 한다. 그래서 섬뜩한 감각을 더해질 수 있고, 그것으로 인해 귀신과 같이 초자연적인 현상에 더욱 몰입하게 될 수 있다.

     

    사랑하는 사람을 잃었을 때

    사랑하는 사람을 떠나보내게 되었을때, 그 사랑하는 사람의 모습이 눈에 비친다던지, 혹은 사랑하는 사람의 목소리를 듣게 된다던지 하면서 초자연적인 현상을 겪게 될 수 있다.

     

    싸늘한 장소

    싸늘한 장소는 우리에게 뭔가 섬뜩한 감각을 불러 일으키고, 불안감과 긴장감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감정과 감각이 초자연적인 것과 관련이 있게 된다.  한 연구에 따르면 귀신이 잘 나타난다는 장소에서 누구나 다 느낄법한 싸늘함이 있다는 것을 밝혀 내었다. 

     

    일산화탄소에 심하게 노출 되었을 때

    1930년대 동안 한 연구는 용광로에서 발생된 일산화탄소 누출로 인해 실제로 환격을 본 것으로 확인했다. 환각이 마치 귀신으로 보였던 것이다. 일산화 탄소에 심하게 노출이 된다면 환각을 보일 수 있다는 증거이다.

     

    수면이 부족할 때

    수면이 부족할때 사람들은 헛것을 보거나 헛것을 들을 수 있다. 수면이 부족하면 뇌에 혈류가 잘 가지 않고 혈류가 잘 가지 않는다면 일어나고 잇는 현상을 왜곡할 가능성이 높아 진다. 그러므로 수면의 질이나 양이 초자연적인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