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은습관에서 성격을 알 수 있는 연구결과 살펴 보기심리이야기 2024. 4. 12. 00:00
화장지 방향
연구 결과, 화장지 끝을 밖으로 나오도록 사용하는 사람이 더욱 활동적이고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반대 성향을 선호하는 사람이 좀더 차분하고 조용한 성격을 지닌 것으로 나타 났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결과가 100프로 모든 사람에게 다 맞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니 참고용으로만 알아주고, 상황이나 사람에 따라 적용해 본다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신발선택
한 연구에서는 나타났는데, 좀 더 공격적인 사람들은 많은 신발 중에서 발목 부츠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고, 깔끔하고 끈 정돈이 잘 된 신발을 신은 사람들은 조금 더 예민한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 났습니다. 하지만 이 또한 연구결과일 뿐,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는 것은 아닙니다.
걸음걸이
논리적이고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은 무게 중심을 약간 앞으로 두고 보다 빠르게 걷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습니다. 어깨를 살짝 뒤로 젖히고 가슴을 앞으로 내밀고 머리를 높이 들고 걷는 사람들은 보통 더 리더쉽이 있고 좋은 사회성을 가진 사람들이라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반대로 내성적인 사람들은 가볍고 걷고 바닥을 내려다 보는 횟수가 더 많다고 합니다.
악수
한 연구는 더 힘차게 악수를 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더 긍정적이고 자신감이 있으며 표현력이 있고 외향적이라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반면, 악수가 느슨한 사람은 자신감이 없고, 수줍음이 많지만 신중하며 상대방을 함부로 평가하지 않는 면이 있다는 것을 발견 했습니다.
메신저, 이메일등 사용
이메일이나 메신저에서 "나" 라는 단어를 많이 사용한다면, 보통 자신감이 있고 좀더 나아가 자아도취적인 특성이 있다고 밝혀졌습니다. 또한 "그게 아니라" , "아니 그게 아니고" 이런 말들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비슷한 성향을 지니고 있다고 나왔습니다.
불안한 손짓
사람들중 어떤 사람들은 특정한 행동을 반복하는데, 한 연구에 따르면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머리카락을 잡아 당기거나 손톱을 물어 뜯는 경향이 있다면 약간의 완벽주의성향이 있을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습니다.
시간관념
성격을 드러내는 데 있어 시간관념도 중요한 것을 나타났습니다. 시간을 잘 지키는 사람들은 더욱 양심적이고 사회성이 좋으며 사회적인 규칙을 중요시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 났습니다. 약속한 시간보다 일찍 도착한 사람들은 계획성이 있는 반면, 융통성이 다소 부족할 수 있고, 반대로 지각하는 사람들은 느긋하고 융통성이 보다 많은 것이라고 말합니다.
식습관
빨리 먹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야망이나 야심이 크고, 효율성을 중요시 여기는 사람들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나 반대로 천천히 먹는 사람들은 주변 분위기를 살피고, 부드러운 사람일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음식을 시도해보는 사람일수록 모험심이나 호기심이 많고 실패를 잘 견디는 사람일 수 있는데 다소 신경질적인 면이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또한 음식을 잘 분리해서 먹는 사람은 신중함의 표시이고 전반적으로 세부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쇼핑습관
제품을 구매하기 전에 되도록 많은 것들을 둘러보고 선택을 하는지, 혹은 자신의 마음에 드는 것이 있다면 대체적으로 그것을 바로 선택하는지에 따라서 사람의 성격파악에 도움이 됩니다. 첫번째라면 최대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선택하기 때문에 다소 우유부단 하거나 선택할 때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그러나 두번째라면 신속하고 후회가 없지만, 상대방 입장을 잘 고려하지 않는 면도 존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셀프카메라 찍기
한 연구에 의하면 셀카 찍을 때, 위 방향을 찍는다면 긍정적이고 다소 순응적인 면이 크다고 합니다. 또한 양심적인 사람들은 사진 배경으로 자신의 개인적인 공간을 잘 안보인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심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을 알기 위해 스스로 질문해봐야 하는 10가지 질문 (1) 2024.04.16 음악이 심리건강에 미치는 것에 대해 알아보기 (0) 2024.04.15 불안과 불안장애를 구분하는 방법 (2) 2024.04.11 ADHD 자녀 및 학생 이해하기(2) (1) 2024.04.10 ADHD 학생에 대해서 이해하기(1) (0) 2024.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