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상담 심리치료 정신과 뭐가 다른건가요?심리이야기 2024. 2. 13. 21:12
1. 심리 VS 정신과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은 해부학을 기본 전제로 배웁니다. 물론 정신건강의학과라는 과를 선택하고 레지던트를 할 때, 심리에 대해서 배우고 경험을 쌓기는 하지만 대전제는 해부학입니다. 환자에게 약을 투여해서 나타나는 반응들을 보고, 어떤약을 추가할것인지 어떤약을 뺄 것인지 등을 심도있게 공부 합니다.
반면 심리학은 말 그대로 심리를 배웁니다. 성장과정에서 이런 경우에 이런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이런 증상의 밑면에는 이런 원인이 있고..이런식으로 우리가 살아 가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상황과 사건들로 인해 심리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배웁니다. 그리고 자신을 이해하도록 돕고, 심리적으로 억압되어 있거나 왜곡되어 있는 부분을 수정하도록 하는 기법이나 방법등을 아주 심도있게 훈련 받습니다.
정신과에서는 해부학을 바탕으로 정신이나 심리를 배우고, 심리학에서는 삶속에서 어떻게 심리가 형성되는지를 바탕으로 정신을 배웁니다. 그래서 마치 교집합처럼 둘의 영역은 따로 존재하는 부분도 있고, 겹쳐지는 부분도 있습니다.
2. 정신과에서는 '증상'을 초점 VS 심리에서는 내면의 '원인' 초점
해부학을 메인으로 하는 정신과에서는 약처방이 중심이 됩니다. 약은 일단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억제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 두통약을 생각해 봐도 일단 머리에 있는 통증을 약화시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약은 나타나는 증상을 낫게 해주는데에 목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우울증 환자가 오면 기분은 어떤지, 잠은 얼마나 자는지, 식욕은 있는지 없는지 등 증상에 대해서 물어 봅니다. 이렇게 물어보는 행위를 '정신과 면담' 또는 '정신과 진료' 라고 말하지요. 그리고 이 증상에 따라 잠을 잘자게 하고, 식욕을 올릴 수 있는 약을 처방하게 됩니다.
반면, 심리에서는 약을 처방할 수 없습니다. 약은 의사면허증을 가지고 있는 자만이 처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죠. 심리에서도 증상을 물어보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어릴때 어떻게 살아 왔는지, 가장 가까운 인간관계는 어떠했는지 등 이런부분들을 탐색 합니다.
과거로 인해 현재가 만들어 졌기 때문에 과거에 대해서 물어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그런 과거의 경험들이 지금의 증상과 어떠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는지 알아 봅니다. 그리고 나서 그에 맞는 심리치료를 진행 합니다. 삶속에서 어떻게 하면 현재 나타난 증상들을 완화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론을 훈련받았기 때문에 그것을 적용시켜 변화를 추구 합니다.
3. 심리치료? 심리상담?
심리치료와 심리상담은 같은 의미를 쓰이고 있습니다. '심리학'이라는 학문이 없었을 당시에는 '철학'이나 '정신의학'에서 현재 '심리학'에서 담당하는 것을 했었습니다. 즉, 심리학은 철학이나 정신의학 등 인간의 삶과 정신을 다루는 학문에서 파생되어져 나온 학문중에 하나 입니다. 경영학도 마찬가지이죠. 행정, 회계, 경영, 소비자 심리 등에서 파생되어져 나온 학문이죠. 이렇듯 학문이라는 것은 시대와 문화를 거쳐 없어지기도 하고 새롭게 만들어 지기도 합니다.
심리학이 새롭게 만들어 진 학문중에 하나 인거죠. 예전에는 심리상담보다는 '치료'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 했었습니다. 그런데 치료라는 말이 환자, 무거운 질병을 연관시킨다는 여론이 있어서 '심리상담'으로 서서히 변경을 하기 시작 합니다. 심리라는 것은 꼭 무거운 것 뿐 아니라 일상을 잘 살아가던 사람도 어느 상황에 의해 그 순간 흔들리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때에도 받을 수 있는 것인데 치료라는 말이 들어감에 있어서 이러한 통로를 막게 된다는 여론이 형성 되었습니다. 또한 심리에서는 환자라고 보지 않고 잠재성을 가진 인간 또는 사람이라고 보는 이론이 등장하면서 '심리상담'이라는 이름으로 서서히 바뀌는 과정들이 있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현재 '심리치료' 와 '심리상담' 둘다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말은 다르지만 같은 의미라고 보시면 됩니다.
심리와 정신과의 차이점에 대해서 글을 써보았습니다.
질문을 주신 분에게 제 글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심리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혼자서 못노는 아이 원인 알아보기(2) (0) 2024.02.15 혼자서 못노는 아이 원인 알아보기(1) (2) 2024.02.14 재접근 시기 양육자는 이렇게 해주세요. (2) 2024.02.12 조울증,양극성장애,조증이 다 같은 건가요? (2) 2024.02.11 재접근시기 양육자가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은? (1) 2024.02.11